LifeBooster

자기계발&성장 : 삶의 질을 높여주는 팁, 동기 부여 콘텐츠 건강&웰빙 : 삶을 더 활기차고 건강하게 만들어가기

  • 2025. 4. 6.

    by. LBT

    목차

      반응형

      봉공근이란?

      봉공근(sartorius muscle)은 인체에서 가장 긴 근육으로, 엉덩이 앞쪽에서 시작해 무릎 안쪽까지 대각선으로 뻗어 있는 독특한 근육입니다. 모양이 마치 천을 두르듯 감싸고 있어, ‘재단(사의 근육’이라는 뜻에서 sartorius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 근육은 고관절과 무릎을 동시에 지나는 다관절 근육이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 縫工筋(봉공근)은 영어 명칭 sartorius muscle의 한자식 번역입니다. ‘Sartorius’는 라틴어로 **재단사(tailor)**를 뜻하         는데, 이는 봉공근이 작용할 때 "다리를 꼬는 자세(재단사가 천을 꿰매는 자세)"와 유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          다. 그래서 한자도 “바느질하는 장인의 근육”이라는 의미로 縫工筋이라 표기합니다.

       

      해부학적 특징

      봉공근

      • 기원(origin): 장골의 전상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SIS)
      • 정지(insertion): 경골 내측면의 거위발(pes anserinus) 부위
      • 신경 지배: 대퇴신경(femoral nerve, L2~L4)
      • 형태 및 위치: 허벅지 앞쪽에서 비스듬히 내려오며, 얇고 긴 리본 형태의 근육. 허벅지 앞쪽의 표층에 위치

      봉공근의 기능

      봉공근은 고관절과 무릎을 동시에 작용시키는 유일한 근육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복합적인 움직임을 담당합니다:

      • 고관절 굴곡: 다리를 앞쪽으로 들어올리는 동작
      • 고관절 외회전: 다리를 바깥쪽으로 회전
      • 고관절 외전: 다리를 몸 바깥 방향으로 벌림
      • 무릎 굴곡: 다리를 접는 동작
      • 무릎 내회전: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다리를 안쪽으로 돌리는 동작

      이러한 복합적인 작용 때문에, 다리 꼬기, 가부좌 자세, 발을 반대편 무릎 위에 올리는 동작 등에 관여합니다.

      봉공근 강화 운동 방법

      봉공근은 다른 대퇴근육보다 자극하기 까다로운 편이므로, 고관절과 무릎을 함께 사용하는 복합운동이 효과적입니다.

      • 서서 무릎 들기 + 외회전: 무릎을 들어 올린 후 바깥쪽으로 돌리기. 봉공근 활성화에 좋음
      • 크로스 런지: 비스듬하게 몸을 틀며 런지를 실시. 봉공근의 고관절 굴곡·외회전 작용을 동시에 사용
      • 의자에 앉아 발목 들어 무릎 위에 올리기: 짧은 범위지만 봉공근의 전체 기능을 활용하는 동작
      • 무릎 굴곡 + 내회전 저항 운동: 앉은 자세에서 밴드를 발목에 걸고 무릎 굽힘 + 안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

      봉공근의 부상

      봉공근은 여러 관절을 통과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반복 사용이나 과신장 시 부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근육 좌상(strain): 과도한 스트레칭 또는 빠른 회전 동작 중 발생
      • 봉공근-거위발 통증 증후군: 봉공근이 부착되는 경골 내측 거위발 부위에 염증 발생 가능
      • 특징적 증상:
        • 허벅지 앞쪽과 무릎 안쪽 통증
        • 다리를 꼬거나 외회전할 때 불편감
        • 장시간 앉거나 쪼그려 앉은 후 통증

      재활 단계

      • 1단계: 냉찜질, 휴식, 부드러운 스트레칭
      • 2단계: 등척성 수축 훈련(통증 없는 범위)
      • 3단계: 저항을 이용한 관절운동 훈련
      • 4단계: 런지, 스쿼트 등 고기능 운동 복귀

      봉공근 특징

      • 거위발의 구성 요소
        봉공근은 반건양근, 박근과 함께 거위발(pes anserinus)이라는 구조를 형성하여, 무릎 안쪽 안정성과 유연성을 돕습니다. 이 부위는 다양한 근육이 만나기 때문에 염증이 자주 발생하는 부위입니다.
      • 다관절 근육의 특성
        봉공근은 고관절과 무릎을 동시에 지나는 근육이기 때문에, 한 관절의 제한이 다른 관절의 기능에도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어 고관절의 유연성이 떨어지면 무릎 굴곡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수술적 활용
        봉공근은 때때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ACL reconstruction)에서 자가 건 이식용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이는 봉공근의 길고 강한 힘줄 특성 때문입니다.

      결론

      봉공근은 인체에서 가장 길고 얇은 근육으로, 고관절과 무릎을 함께 움직이는 중요한 다기능 근육입니다. 허벅지 앞쪽에서 비스듬히 뻗어 있어 우리가 무심코 하는 다리 꼬기, 외회전, 쪼그려 앉기 같은 동작에도 관여하며, 반복 사용 시 부상 가능성도 있습니다. 봉공근을 포함한 다관절 근육은 복합적인 움직임과 스트레칭, 적절한 강화를 통해 관리해야 합니다.
      꾸준한 운동과 정확한 자세는 무릎 통증과 고관절 문제를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