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Booster

자기계발&성장 : 삶의 질을 높여주는 팁, 동기 부여 콘텐츠 건강&웰빙 : 삶을 더 활기차고 건강하게 만들어가기

  • 2025. 4. 6.

    by. LBT

    목차

      반응형

      박근이란?

      박근(gracilis muscle)은 허벅지 안쪽에 위치한 가늘고 긴 근육으로, 내전근군(adductor group) 중 가장 안쪽에 있으며, 무릎 아래까지 내려가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퇴 내측 라인을 따라 길게 뻗어 있어 다리의 내전, 굴곡, 회전 등에 관여하는 다기능성 근육입니다.

      박근

       

      해부학적 특징

      • 기원(origin): 치골의 하부(치골하가지, inferior pubic ramus)
      • 정지(insertion): 경골 내측면의 거위발(pes anserinus) 부위
      • 신경 지배: 폐쇄신경(obturator nerve, L2~L4)
      • 형태: 얇고 길며, 표층에 위치하여 쉽게 촉지 가능
      • 위치적 특징

          - 내전근 중 유일하게 무릎 아래까지 연결   

          - 햄스트링과 유사하게 경골에 닿음

          - 거위발을 형성하는 3개 근육 중 하나 (박근, 반건양근, 봉공근)

      반건양근 알아보기

      봉공근 알아보기

      박근의 기능

      • 고관절 내전(adduction): 허벅지를 몸 쪽으로 끌어당기는 역할
      • 고관절 굴곡(flexion): 다리를 앞쪽으로 들어올리는 동작 보조
      • 고관절 내회전(medial rotation): 다리를 안쪽으로 회전시키는 데 기여
      • 무릎 굴곡(knee flexion)내회전 보조: 박근은 무릎 관절을 지나기 때문에 무릎 움직임에도 관여함

            따라서 박근은 고관절과 무릎을 모두 관절 지나는 다관절 근육으로, 하체의 복합적인 움직임에 기여합니다.

      박근 강화 운동 방법

      박근은 기능적으로 중요한 근육이지만, 일반적인 웨이트 운동으로는 잘 자극되지 않기 때문에 특정한 운동이 필요합니다.

      • 볼 스퀴즈 운동: 허벅지 사이에 볼이나 베개를 끼고 압박하는 내전 운동
      • 밴드 내전 운동: 밴드를 고정한 뒤 다리를 안쪽으로 끌어당기는 동작
      • 사이드 런지 + 내전 수축: 사이드 런지 자세에서 중심 다리의 내전근 수축 유도
      • 거위발 스트레칭과 활성화 운동: 무릎 안쪽으로 이어지는 박근의 특성을 고려해 무릎 굴곡과 내회전을 포함한 운동을 추가하면 효과적

      박근의 부상과 재활

      박근은 가늘고 길기 때문에 과신전, 급작스러운 움직임, 방향 전환 시 쉽게 손상될 수 있습니다.

      • 부상 유형
        • 근육 좌상(strain): 런지나 킥 동작 중 갑작스러운 신장성 수축으로 발생
        • 박근건염(tendinitis): 거위발 부위에서 과사용으로 인한 염증
        • 거위발윤활낭염(pes anserine bursitis): 박근, 반건양근, 봉공근이 만나는 부위에 있는 윤활낭에 염증 발생
      • 재활 단계
        • 1단계: RICE 요법 (Rest, Ice, Compression, Elevation)
        • 2단계: 스트레칭과 가벼운 등척성 수축으로 유연성 회복
        • 3단계: 점진적 내전 강화 운동, 무릎 굴곡 운동 포함
        • 4단계: 운동 복귀 전 기능성 훈련 실시 (균형감각, 방향 전환, 속도 조절)

      박근 특징

      • 거위발(pes anserinus)의 구성
        박근은 반건양근, 봉공근과 함께 거위발(pes anserinus)이라는 구조를 형성하며, 무릎의 안쪽 안정성을 담당합니다. 이 부위에 염증이 생기면 거위발 윤활낭염이 생기며, 특히 중년 여성과 운동선수에게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 신경 지배 특징
        박근은 폐쇄신경만 지배를 받지만, 길이가 길고 다른 관절을 통과하기 때문에 다양한 통증 원인이 될 수 있는 근육입니다. 특히 서혜부에서 무릎 안쪽까지 방사되는 통증은 박근 손상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임상적 활용
        박근은 일부 수술(예: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시 건 이식용 조직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는 그만큼 길고 강한 힘줄 구조를 갖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결론

      박근은 허벅지 안쪽에 위치한 얇고 긴 근육으로, 단순한 내전 기능뿐 아니라 고관절과 무릎의 굴곡, 내회전 기능까지 담당하는 중요한 다기능성 근육입니다. 기능이 약화되거나 손상되면 무릎 내측 통증, 서혜부 불편감, 균형 문제 등이 생길 수 있으며, 꾸준한 스트레칭과 강화 운동이 필요합니다.
      운동을 즐기거나 하지 통증이 있는 사람이라면 박근을 무시하지 말고 주의 깊게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